본문 바로가기
치아 정보

치과보철물의 종류 - (4) 국소의치 (적용과 구성)

by 파인즈 2023. 10. 27.
반응형

국소의치는 상하악 치열의 일부 상실치와 관련 조직의 결손을 수복하기 위하여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적용되는 환자 자신이 제거 장착할 수 있는 보철물이다. 이러한 국소의치의 목적은 우선 잔존 구강조직을 가능한 한 건강한 상태로 보존하는 것이며, 저작과 발음 등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 개선하는 것이다. 만약, 치아와 인접 조직의 결손을 방치하면 잔존치에 가해지는 교합압이 과중하게 되며 결손부 인접치의 이동, 경사 및 대합치의 정출 등이 야기되어 전체 악궁의 조화를 잃게 된다. 

 

▲ 국소의치 (Partial Denture)

 

1. 국소의치의 적용 

부분 무치악 환자의 치료는 여건이 좋을 경우 먼저 가공의치(bridge)를 고려한다. 왜냐하면 가공의치는 국소의치에 비해 외형이 작아 장착감 및 심미성이 좋고 저작 능력도 우수하고 착탈하는 불편감이 적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국소의치는 대부분의 증례에 적용이 가능하며, 기능압의 일부를 점막에 분산시킴으로써 잔존치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잔존치의 삭제가 적으며,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청소와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일반적으로 가공의치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 국소의치 적용 후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국소의치가 적용된다. 

첫째, 너무 긴 치아 결손부로 인하여 가공의치의 지대치가 과도한 저작압을 부담하는 경우이다.

둘째, 치주질환 등으로 인한 치조골 흡수로 잔존치가 가공의치의 지대치로 부적합하여 점막에서 지지를 얻어야 하는 경우이다. 

셋째, 결손부 후방에 지대치가 없는 경우 국소의치가 적용된다.

넷째, 외상 등의 원인으로 잔존 치조제의 골 결손이 과도하여 입술과 볼의 정상적인 안모회복을 위해 국소의치의 의치상이 요구되는 경우이다. 

다섯째, 나이 어린 환자의 경우 커다란 치수와 짧은 임상치관으로 가공의치가 불가능하므로 임시 국소의치가 적용된다. 이 경우 성장 완료 후에는 가공의치로 교체 적용된다. 

여섯째, 고령의 전신적 건강이 나쁜 환자의 경우 치료가 힘든 가공의치보다 국소의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삭제를 기피하거나 경제적인 이유로 환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도 국소의치가 적용된다. 

 

2. 국소의치의 특성과 환자 교육

환자에게 가공의치와 국소의치의 장단점, 적용, 치료 방법의 차이점과 적합한 치료 계획을 잘 설명하여 국소의치의 필요성을 납득시키고 환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치아 결손을 방치하였을 경우 식편압입, 교합의 부조화 등으로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악관절 질환을 야기하고 전체 악궁의 부조화를 초래하게 된다는 점과 적절한 국소의치는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고 기능과 안모를 회복 개선하여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교육한다. 

또한 국소의치의 이물감 및 기능회복의 한계와 일정 기간의 적응기간이 필요한 점을 이해시키고 환자의 적극적인 태도와 의욕이 국소의치 적용에 중요함을 주지시킨다. 

그리고 환자가 구강위생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고 올바른 청결법을 실행할 수 없어 높은 수준의 구강 청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국소의치의 좋은 예후를 기대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보철물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의 음식물 삽입국소의치 구조물에 의한 자정작용의 방해는 특히 구조물과 접촉하는 치아의 치아우식증과 치주염을 자주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자는 치료 시작 전부터 개인구강건강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철저히 교육받아야 한다. 

 

3. 국소의치의 구성 

 

1) 주연결장치(Major connector)

주연결장치는 국소의치의 기초 구조물 역할을 하는 부위로 악궁의 한 쪽 부분과 다른 쪽에 위치한 보철물의 부분을 연결하며, 국소의치의 모든 부분이 직 · 간접적으로 주연결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주연결장치는 국소의치의 한 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치아나 점막 등 다른 지지 부위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충분히 견고해야 하며, 필요 이상으로 조직을 피개해서는 안 되고 치은 조직에 위해작용이 없어야 한다. 

 

(1) 하악 주연결장치

① Lingual bar

lingual bar는 하악 주연결장치로 가장 흔히 사용되며 치은 조직에 위해작용이 없도록 치은연 하방으로 최소한 3~4mm 이상 떨어져야 한다. 

▲ Lingual bar

 

Lingual plate (Linguoplate)

lingual plate는 lingual bar의 상부에서 치아의 설면까지 얇은 금속으로 연장된 연결장치로서 매우 견고하고 지지와 안정면에서 우수하며, 치주가 약한 치아를 고정해주는 효과가 있으나 치아와 연조직을 많이 피개하므로 치은에 염증을 야기할 수 있고 설면과의 접촉이 긴밀하지 않을 경우 음식물이 끼는 단점이 있다. 

 

▲ Lingual plate

 

③ Double lingual bar

double lingual bar는 lingual bar와 전치부 설면 cingulum 위에 놓이는 bar로 구성되며, 치은조직이 피개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lingual plate보다 혀가 더 불편할 수 있다. 

▲ Double lingual bar

 

④ Labial bar

labial bar는 순측 또는 협측의 점막에 위치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초래하기 때문에 하악 전치나 소구치가 심하게 설측 경사되어 있거나 커다란 하악 골융기로 인해 설측  주연결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 Labial bar

 

(2) 상악의 주연결장치

① Single palatal strap

구개를 가로지르는 넓고 얇은 금속대로 되어 있고 결손부가 클수록 넓어진다.

▲ Single palatal strap

 

② U-shaped palatal connector

큰 구개부 골융기(palatal torus)가 존재하거나 전치부를 수복할 때 사용하지만 견고하지 않아 잘 사용하지 않는다. 

▲ U-shaped palatal connector

 

③ Anterior-posterior palatal strap(bar)

대부분의 상악 국소의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견고한 연결장치이다. 전치부를 수복하거나 약한 전치를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연장하기도 한다. 

 

▲ Anterior-posterior palatal strap

 

④ Complete(full) palatal plate

complete palatal plate는 구개의 대부분을 덮기 때문에 몇 개의 전치부 치아가 잔존되어 있거나 지대치가 불량하여 직접적인 유지를 얻기 어려운 경우 등 충분한 견고함과 지지가 필요한 경우 사용된다. 그러나 광범위한 조직피개로 구강위생 불량시 연조직의 염증과 발음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Complete palatal plate

 

2) 부연결장치(Minor connector)

부연결장치는 rest, 유지장치, 의치상과 같은 국소의치의 다른 구성요소와 주연결장치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의치에 가해지는 기능압을 지대치와 다른 잔존 치아에 분산하고 의치를 제자리에 위치시키고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 Minor connector

 

3) 레스트(Rest)

레스트의 목적은 국소의치의 수직적 지지를 부여하여 의치의 침하를 방지하고, 교합압을 지대치의 장축 방향으로 전달하며, 의치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레스트는 지대치 표면에 형성된 레스트 시트(rest seat) 위에 위치한다. 

레스트는 놓이는 치아 표면의 위치에 따라 교합면 레스트(occlusal rest), 설면 레스트(lingual rest), 절단면 레스트(incisal rest)로 구분한다. 

▲ occlusal rest seat (좌) / lingual rest seat (중앙) / incisal rest seat (우)

 

4) 직접 유지장치(Direct retainer)

직접 유지장치는 국소의치가 조직으로부터 탈락하려는 이탈력에 저항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지대치에 장착되며 클래스프형 우지장치와 정밀 부착형 유지장치로 크게 구별된다. 그 밖에 telescopic crown을 이용한 유지장치도 있다. 

 

5) 의치상(Denture base)

의치상은 구강내 결손부를 수복하고 결손치를 대치할 인공치아를 지지하며, 의치상 하부의 구강점막조직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교합압을 구강 조직으로 전달하고 자연감을 갖는 치은부 색조와 형태의 재현으로 심미적 기능을 하는 국소의치의 구성요소이다. 의치상은 치조제 흡수시 첨상이 가능한 레진 의치상이 주로 사용되며 국소의치 금속 구조물의 격자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 

 

6) 인공치아(Artificial teeth)

인공치아는 결손치를 대치하는 것으로 도재나 레진, 금속치아가 있으나 주로 레진 치아가 사용되고 구치부의 경우 간혹 교합면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인공치아를 사용한다.도재 치아는 뛰어난 심미성과 마모 저항성과 강도는 좋지만 파절의 위험과 교합 조정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에 레진 치아는 파절의 위험이 없고 조정 및 수리가 용이하고 심미성도 우수하지만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약한 것과 변색의 가능성이 단점이다.

▲ 의치상과 인공치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