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아 정보

치과보철물의 종류 - (5) 총의치 (총의치 장착 환자의 특성)

by 파인즈 2023. 11. 12.
반응형

 

4. 총의치 장착 환자의 특성 

1) 의치 하부조직

(1) 연조직의 변화 

의치를 지지하는 구강점막은 일반 피부보다 각화가 덜하고 그 두께도 얇아서 의치장착에 의해 점막에 염증이 생기기 쉽다. 의치 장착에 대한 조직의 반응은 개인적 차이가 있으며 점막조직의 내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 

① 과가동 연조직 증식(hypermobile soft tissue hyperplasia)

② 유두상 증식(papillary hyperplasia)

③ 열구성 치육종(epulis fissuratum)

④ 의치성 구내염(denture stomatitis)

⑤ 구각(미란)증(angular cheilitis)

▲ 열구성 치육종(좌) / 의치성 구내염(우)

 

 

(2) 치조골의 변화 

치아가 상실된 후 잔존 치조제는 흡수가 일어나는데 그 일반적 진행 양상은 발치 후 외부 골파괴 흡수에 의해 예리한 치조제가 낮고 둥글게 되며 순 · 설측에서의 계속적인 흡수로 인해 치조제 정상이 좁아져 결국 knife-edge 형태가 된다. 지속적 흡수로 knife-edge가 낮아져 편평한 치조제, 더 심하게 흡수되어 함몰된 형태의 치조제가 된다. 골의 흡수 속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다. 

 

2) 연령증가에 따른 구강의 변화

노인 환자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신체의 변화를 알고 응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치악의 노인 환자에게 나타나는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구강 점막과 피부의 변화 

점막과 점막하 조직의 두께가 감소를 보여 의치 지지조직의 점막이 약해지고 외상을 쉽게 받을 수 있다. 피부의 하부구조인 근육, 지방, 결체조직 등의 모든 부분에서 용적이 감소되어 그것을 감싸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피부가 남게 되므로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피부 변화는 보철물에 의해 회복될 수 없다는 것도 환자가 알아야 할 부분이다. 

 

(2) 잔존 치조골과 상하악 관계의 변화 

총의치를 오래 장착하게 되면 치조제가 흡수되면서 상하악 잔존 치조제의 높이가 감소된다. 즉 치조골의 흡수 경향은 커지나 형성 능력은 작아져서 결과적으로 골다공증을 초래하게 되며, 피질판은 얇아지고 골흡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상악의 경우 외측 피질골 판이 내측 피질골보다 얇아서 외측의 피질층으로부터 골흡수가 더 크고 빠르게 진행된다. 이에 비해 하악은 일반적으로 외측 피질층이 설측보다 두꺼워서 하악궁은 치조골 흡수가 진행됨에 따라 본래 크기를 유지하거나 또는 후방부에선 넓어진 형태를 보이게 된다. 

▲ 무치악 상 · 하악의 악골 흡수 방향 (모식도) - A, B는 치조제의 중심

 

(3) 혀 및 미각의 변화 

혀는 전반적으로 매끈해지고 붉어지는 양상을 띄며 작열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미뢰의 수는 나이가 듦에 따라 감소되고 미각에도 변화가 오며 이로 인해 식욕부진, 부분적인 영양결핍 등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노인 환자들은 미각의 변화나 혀의 작열감 등을 의치의 탓으로 돌리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 사전에 미리 알 필요가 있다. 

 

(4) 타액 분비의 변화

노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타액선의 위축이 오기 쉬우며 불면, 정신질환 등에 대한 치료제를 복용하는 경우에는 구강건조(dry mouth)를 초래하기 쉽다. 이에 따라 의치의 유지력도 감소되며 소화능력도 감퇴된다. 

점막이 건조하면 의치가 움직일 때 마찰 자극에 더 민감하게 되며 의치 장착을 더욱 어렵게 한다. 새로 제작된 의치를 막 장착한 후에는 타액이 많이 분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일시적 현상이므로 잘 이해하도록 한다. 

 

(5) 하악관절과 저작근 등의 변화

노인 환자는 일반적으로 하악관절의 탄력성이 부족하고, 저작근의 근 수축력도 저하되어 있다. 따라서 인상채득시 하악의 개폐, 전후, 좌우 운동 등에 협조가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오래 방치된 부분적 치아결손이나 부적절한 보철처치 등으로 인해 하악관절의 동통 또는 관절 내에 퇴행성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 

 

(6) 안모의 변화 

총의치 장착자는 잔존 치조제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안모고경이 감소되며, 상하악 치조골의 흡수방향의 차이로 인하여 하악이 앞으로 튀어나온 듯한 얼굴 형태를 보이게 된다. 

 

3) 심리적 변화

노인 환자는 우울증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습관적으로 치아를 악무는 것과 같은 신경성 습관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의치 지지조직에 지나친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