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3

치과보철물의 종류 - (5) 총의치 (진단과 치료계획, 전처치) 5. 총의치 임상과정 ① 검진과 전처치 ② 예비인상 : 기성 트레이, alginate, modeling compound ③ 연구모형 제작 : 보통석고, 경석고 ④ 개인 트레이 제작 : 트레이용 레진 ⑤ 변연 형성 : 막대형 modeling compound, 개인 트레이 ⑥ 최종 인상 : 개인 트레이, 고무인상재, zinc oxide eugenol paste ⑦ 작업모형 제작 : 경석고, beading, boxing ⑧ 교합상 제작 : 상온 중합 레진과 paraffin wax ⑨ 악간관계 기록 : 교합상과 안궁, 고딕아치묘기 장치 등을 이용한 기록 ⑩ 인공치아 선택 ⑪ 인공치아 배열 ⑫ 납의치의 시험적합 ⑬ 레진 중합(의치완성) ⑭ 장착과 술후 관리 1) 진단과 치료계획 (1) 문진 문진 중에는 과거에 치.. 2023. 11. 12.
치과보철물의 종류 - (5) 총의치 (총의치 장착 환자의 특성) 4. 총의치 장착 환자의 특성 1) 의치 하부조직 (1) 연조직의 변화 의치를 지지하는 구강점막은 일반 피부보다 각화가 덜하고 그 두께도 얇아서 의치장착에 의해 점막에 염증이 생기기 쉽다. 의치 장착에 대한 조직의 반응은 개인적 차이가 있으며 점막조직의 내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 ① 과가동 연조직 증식(hypermobile soft tissue hyperplasia) ② 유두상 증식(papillary hyperplasia) ③ 열구성 치육종(epulis fissuratum) ④ 의치성 구내염(denture stomatitis) ⑤ 구각(미란)증(angular cheilitis) (2) 치조골의 변화 치아가 상실된 후 잔존 치조제는 흡수가 일어나는데 그 일반적 진행 양상은 발치 후 외부 골파.. 2023. 11. 12.
치과보철물의 종류 - (5) 총의치 (종류, 기본구조, 특성) 총의치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열과 이에 관련된 구조물들을 대체하는 가철성 치과 보철물을 말한다. 총의치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음식의 저작을 가능케 하며 정상적인 심미의 회복 및 발음의 회복, 구강건강 및 감각기능을 유지하게 되지만 잔존 치아가 모두 결손된 무치악에서 안정과 유지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보철물에 비하여 매우 불리한 여건의 보철물이다. 1. 총의치의 적용 1) 총의치가 필요한 경우 (적응증) 모든 치아가 상실되었거나 잔존 자연치가 있더라도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사용할 수 없을 때 적용된다. - 최근 무치악이 된 환자 (6개월 정도 이내) : 의치의 제한적인 기능과 사용의 어려움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며, 자연치와 비슷하게 계속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의치의 지지조직은 계속.. 2023. 11. 10.
치과보철물의 종류 - (4) 국소의치 (장착 후 주의사항, 수리 방법) 5. 국소의치 장착 후 주의사항 대부분 국소의치 장착 후 불편을 호소하는데 미리 불편 사항에 대한 사전 지식을 알고 있다면 실망감을 줄일 수 있고 의치 적응에 대한 적극적 태도를 가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1) 국소의치의 사용과 관리 국소의치는 가철성 고정물로 스스로 구강내에 삽입하고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보철물의 구강내 적용과 제거법, 제거된 의치와 구강의 청결 유지, 보조구강위생용품의 사용, 저작과 발음, 구강내의 변화, 정기적 유지관리의 필요성, 국소의치의 보수에 관하여 인지해야 한다. 국소의치 장착자는 자연치열을 가진 사람보다 음식물 찌꺼기가 끼기 쉽고 지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치아는 치아우식과 치주질환에 이환되기 쉬운 환경하에 있다. 따라서 식후에는 의치를 빼내서 청결히 해야 하고, 의치.. 2023. 11. 8.
치과보철물의 종류 - (4) 국소의치 (임상과정) 4. 국소의치 임상과정 국소의치의 임상과정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인 임상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검사와 치료계획 국소의치 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치료계획이 필수적이다. 적절한 치료계획을 위해서는 잔존치와 결손부의 검사만이 아니고 환자의 전신적인 상태와 구강위생 수준의 평가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환자의 구강건강관리 능력은 치료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강검사와 방사선 검사, 진단용 인상채득과 진단모형 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2) 시술 전 환자 상담 및 교육 검사 후 다시 내원한 환자에게 검사기록부, 방사선 사진, 진단 모형과 기타 자료를 이용하여 구강상태와 수립된 치료계획을 설명하고 환자의 동의를 얻는다. 이 과정에서 치료계획이 다소 수정될.. 2023. 11. 6.